2025.11.18 (화)

  • 맑음동두천 1.5℃
  • 맑음강릉 4.0℃
  • 맑음서울 3.0℃
  • 구름많음대전 3.0℃
  • 맑음대구 5.3℃
  • 맑음울산 4.8℃
  • 구름조금광주 5.0℃
  • 맑음부산 6.0℃
  • 맑음고창 3.0℃
  • 흐림제주 10.8℃
  • 구름조금강화 -0.3℃
  • 구름많음보은 2.1℃
  • 구름조금금산 1.7℃
  • 구름많음강진군 5.9℃
  • 맑음경주시 4.1℃
  • 맑음거제 6.3℃
기상청 제공

경기도교육청, 내년도 본예산안 22조 3,345억 원 편성 제출

학력 향상, 미래 교육, 과밀학급 해소 및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등 전년 대비 3조 1,386억 원 증가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2023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안(이하 예산안)’ 22조 3,345억 원을 편성해 경기도의회에 제출했다. 이는 2022년도 본예산 19조 1,959억 원보다 3조 1,386억 원 증가한 것이다.

 

31일 도교육청 관계자에 따르면 민선 5기 임태희 교육감 출범에 따른 '미래 교육의 중심, 새로운 경기교육’ 추진을 위해 △하이테크 기반 학생 맞춤형 학력 향상 교육 △자율 기반의 새로운 미래 교육 체제 구축 △과밀학급 해소 및 건강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개선 조성 △방과후학교, 돌봄, 유아교육 지원 강화 등에 중점을 두고 예산안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2023년도에는 기초학력 지원센터 운영,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미래 교육, 국제 바칼로레아(IB) 교육 운영, 디지털 시민교육 운영, 특성화고 계약학과 운영, 교권 보호 지원, 교원 연구년제 운영, 공·사립유치원 방과 후 과정 건강 간식 제공, 아침 책임 돌봄 시범 운영, 카페테리아식 급식, 학교 도서관 공간 재구조화 등을 새롭게 추진할 예정이다.

 

2023년 예산 규모는 총 22조 3,345억 원으로, 세입예산은 △중앙정부 이전수입 18조 195억 원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3조 6,278억 원 △자체 수입 1,215억 원 △기타 5,657억 원이다.

 

세출예산은 △에듀테크를 활용한 학력 향상 2,464억 원 △미래 교육 체제 구축 391억 원 △교원의 미래 교육 역량 강화 219억 원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61억 원 △미래형 교육과정 및 평가체제 구축 2,010억 원 △학생 맞춤형 진로·직업교육 강화 1,169억 원 △교권보호 및 구성원의 자율성 보장 1조 4,861억 원 △방과후학교, 돌봄, 유아교육 강화 1조 2,625억 원 △교육 사각지대 학생 지원 3,565억 원 △건강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5조 5,331억 원 △미래지향적 교육행정 체계 구축 377억 원 △학교 지원 중심 행정 강화 13조 272억 원을 편성했다.

 

세부적으로 에듀테크를 활용한 학력 향상 사업은 △기초학력 책임지도제 운영 1,534억 원 △학교정보화 여건개선 사업 691억 원 △ICT 활용 교육 239억 원이다.

 

미래교육 체제 구축 사업은 △미래 교육 협력지구 운영 155억 원 △인공지능·소프트웨어(AI·SW) 교육 등 미래 교육 운영 107억 원 △경기 이룸학교 운영 94억 원 △경기 이룸대학 운영 26억 원 등이다.

 

교원의 미래교육 역량강화 사업은 △교원 자격연수 110억 원 △교원 역량 강화 등 109억 원이다.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사업은 △국제 바칼로레아(IB) 교육 운영 34억 원 △디지털 시민교육 운영 27억 원이다.

 

미래형 교육과정 및 평가체제 구축 사업은 △교육과정 운영 및 다양화 532억 원 △도서관 운영 및 학교 도서관 지원 304억 원 △과학실 구축 및 과학교육 내실화 288억 원 △대학수학능력시험 229억 원 △예술 활동 지원 153억 원 △학력평가 관리 132억 원 등이다.

 

학생 맞춤형 진로·직업교육 강화 사업은 △특성화고 운영지원 810억 원 △특성화고 실습 기자재 확충 186억 원 △진로 교육 운영 173억 원이다.

 

교권 보호 및 구성원의 자율성 보장 사업은 △공립 학교운영비 및 사립 운영비 재정결함지원 1조 4,713억 원 △학원 및 평생교육 운영지원 119억 원 △교권보호 지원 18억 원 등이다.

 

방과후학교, 돌봄, 유아교육 강화 사업은 △누리과정 지원 1조 240억 원 △사립유치원 지원 1,281억 원 △방과 후 돌봄 운영 867억 원 △(가칭)경기도북부유아체험교육원 설립 124억 원 등이다.

 

교육 사각지대 학생 지원 사업은 △교과서 지원 1,834억 원 △특수교육 지원 807억 원 △교육 급여 및 교육비 지원 686억 원 △다문화 및 북한이탈주민 등 자녀교육 지원 121억 원 △대안교육 및 교육복지 우선지원 67억 원 등이다.

 

건강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사업은 △교육시설 환경개선기금 전출금 1조 8,600억 원 △석면 제거 및 LED조명 설치 등 교육환경(안전)개선 1조 1,119억 원 △과대학교 및 과밀학급 해소를 위한 학교 신․증설 9,475억 원 △학교급식 경비 지원 6,519억 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추진 1,863억 원 △학교 급식기구 및 시설 확충 1,668억 원 △학교공간 혁신 등 959억 원 등이다.

 

미래지향적 교육행정 체계 구축 사업은 △교원 및 교육전문직 인사 운영 238억 원 △경기도교육연구원 운영지원 53억 원 △지방공무원 역량강화 38억 원 등이다.

 

학교지원 중심 행정강화 사업은 △교육행정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456억 원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 408억 원 △교육정책 홍보 및 기획 106억 원 △교직원 인건비 12조 4,326억 원 △BTL운영비 3,263억 원 △예비비 1,000억 원 등이다.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은 "이번 본예산안은 자율·균형·미래의 원칙으로 새롭게 시작하는 2023 경기교육 방향과 연계하여 편성했다"며, "경기 미래 교육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학생별 맞춤 교육과 새로운 미래 교육 체제 구축, 과밀학급 해소를 위한 학교 신·증설 등 공교육의 책임성을 강화하는 데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2023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 예산안은 오는 11월 1일부터 도의회 본회의에서 심의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단신

더보기


정치/행정

더보기
정진호, 이번엔 본회의장서 '사실 왜곡?'...허위사실 유포 논란
지난 6월 행정사무감사 당시 부정확한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정진호 의정부시의원이 이번에는 본회의장에서 사실과 다른 주장으로 김동근 시장을 겨냥해 다시 구설에 올랐다. 지역사회에서는 "정치적 목적을 앞세운 과잉 공세"라며 비판이 확산되고 있다. 정 의원은 최근 열린 의정부시의회 제339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시금고를 내년 6월 지방선거 이전에 굳이 선정하려고 하는 것은 김동근 시장과 농협 주요 인사와의 학연 때문"이라며 "시금고 재계약의 대가로 시민의 돈이 시장의 쌈짓돈처럼 쓰이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심을 갖게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는 시금고 지정 절차나 농협 조직구조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비롯된 주장이라는 반박이 잇따르고 있다. 의정부시에 따르면 시금고 선정과 관련해 구체적인 논의는 아직 진행된 바 없으며, 일정 검토 역시 역대 관례에 따른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시금고는 당초 3년 약정으로 운영되다가 지난 2015년부터 4년으로 연장됐고, 상반기 공모 방식 또한 안병용 전 시장 재임 시기부터 진행됐던 절차다. 경기도 31개 시·군 중 상당수(14곳)도 상반기에 공모를 진행하고 있다. 정 의원이 근거로 제시한 '학연' 의혹 역시 사실과 동떨어져

사회/경제

더보기
의정부시, 법무부‧법원행정처‧경기도와 원외재판부·법조타운 조성 업무협약
의정부시가 18일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법무부, 법원행정처, 경기도와 함께 경기북부 사법복지 향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동근 시장과 황병헌 의정부지방법원장, 이만흠 의정부지방검찰청 검사장, 김대순 경기도 제2부지사, 박지혜·이재강 국회의원 등이 참석해 사법 접근성 개선에 뜻을 모았다. 인구 360만 명의 경기북부는 전국 18개 지방법원 관할 중 유일하게 고등법원 원외재판부가 없는 지역이다. 이번 협약은 의정부 고산동에 조성 중인 법조타운에 법원·검찰 이전과 서울고법 원외재판부 설치를 추진하기 위한 것으로, 사법서비스 개선과 지역경제 활력을 동시에 기대하고 있다. 법조타운 부지 조성은 2026년 말까지, 법원·검찰청 및 원외재판부 청사 설계는 2026년 하반기~2028년 하반기, 준공은 2031년 하반기가 목표다. 협약에 따라 ▲경기도·의정부시는 인허가·기반시설 연계 지원 ▲법무부는 검찰청 이전계획 수립 ▲법원행정처는 법원 이전과 원외재판부 설치를 책임진다. 4개 기관은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할 계획이다. 김동근 시장은 "이번 협약은 경기북부 사법환경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출발점"이라며 "법조타운 조성과 원외재판부 설

사건/사고

더보기
포천시, 고액 체납자 가택수색…명품 가방·골프채 등 고가 물품 압류
포천시는 지방세 고액·상습 체납자에 대한 강력한 징수 조치의 일환으로 경기도 조세정의과와 합동 가택수색을 실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수색은 포천시 관외에 거주 중인 고액 체납자를 대상으로 지난 7일 진행됐다. 시는 사전 실태조사를 통해 일반적인 체납처분으로는 징수가 어렵다고 판단하고, 경기도와 공조해 강제 징수 절차에 착수했다. 가택수색 결과, 명품 가방과 시계, 귀금속, 골프채 등 고가 물품 30점이 발견돼 즉시 압류됐다. 시는 해당 물품을 전문 감정기관의 감정을 거쳐 진품 여부를 확인한 뒤, 공매 절차를 통해 체납액 충당에 활용할 계획이다. 포천시는 이번 조치를 시작으로 고액·상습 체납자에 대한 현장 중심의 강력한 징수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재산 은닉과 납세 회피 행위를 차단하기 위해 명단공개, 출국금지 등 행정 제재를 병행하며 체납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김인엽 징수과장은 "조세 정의 실현은 성실 납세 시민의 권리를 보호하는 일"이라며 "앞으로도 고액 체납자에 대한 강도 높은 징수 활동을 이어가 시민이 신뢰하는 공정한 납세 질서를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앞으로 체납세 정리단 운영과 실시간 체납정보 관리체계 고도화를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