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용 그림의 대가 봉룡(鳳龍) 정대봉



용과 함께 살아온 64년


한국 최고의 ‘용 그림의 대가’, 끊임없는 연구로 몽유도법 개발


 


 


▲ 용 그림의 대가 봉룡(鳳龍) 정대봉


 


  두툼한 붓과 한지와의 한 번의 만남. 거침없이 이어지는 붓놀림. 처음에는 그저 아무렇게나 붓을 휘두르는 듯이 보였지만 점차 시간이 흐르자 어느새 한지위에는 매서운 눈을 뜬 용의 윤곽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붓의 강약에 따라 선명하게 나타나는 용의 비늘. 자로 잰 듯 한 붓의 움직임을 따라 구불구불 곡선을 그리고 있는 용의 모습과 함께 온몸을 들썩이는 정화백의 모습이 마치 용과 함께 춤을 추는 듯 보였다. 마지막 취임새를 하듯 거친 숨을 몰아내며 큰 한바퀴 원형을 그리고 마침내 용의 입에 여의주를 물린 후 한지에서 붓을 떼어낸다.


  봉룡(鳳龍) 정대봉 화백은 상상 속 존재인 용을 가장 한국적이고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있는 인물로 한국 최고의 ‘용 그림의 대가’로 꼽힌다.


  수 많은 화가들이 용의 영험함을 알고 다양한 형태로 그림을 그려오고 있지만 한국 최고의 용그림을 그린다고 손꼽히는 정화백은 용을 그린다고 표현하지 않고 용을 서예 하듯 쓴다고 표현한다.


  “그림이라면 잘 보이기 위해 덧칠을 할 수 있고 잘못된 것은 지울 수도 있지요. 하지만 글을 쓰는 것은 덧칠을 할 수 도 지울 수도 없는 것입니다. 일필휘지(一筆揮之). 즉 한 번에 내려쓰지 않으면 안된다는 의미죠. 용도 마찬가지입니다. 머리에서 꼬리까지 한 번에 거침없이 내려써야만 제대로 된 용이 탄생하는 겁니다.”


  그는 한번 한지에 붓을 대고는 용을 쓸 때는 절대 숨을 쉬지 않고 한숨으로 이어져 내려간다. 용을 쓰는 순간 숨을 쉬게 되면 맥이 끊기기도 하지만 온 영혼을 쏟아 부을 수 없어 조금의 사심이라도 들어가 버리면 영혼이 흔들려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경남 진주에서 태어나 서부경남 지역 최고의 한학자였던 외숙부 서대철로부터 한학을 배우다가 열 살 즈음 문 밖에 걸려있던 용 그림을 본 후 재미삼아 따라 그리게 된 것이 동네 사람들의 입소문을 타면서 본격적으로 용을 그리기 시작하게 됐다.


  용이 어떻게 생긴 것인지 실제로 한번 본적도 없고 누군가가 알려주지도 않았지만, 용은 신령스럽고 고귀한 모습으로 상징되어 한국인의 사고와 감정에 뿌리 깊게 잡혀있어 자연스럽게 용의 실제 모습처럼 그려내게 된 것이다.


  그렇게 붓을 잡은 지 64년 그의 손을 거쳐 간 용은 대략 1만여점이 넘는다. 청와대는 물론 정부기관, 관공서, 군부대 등 그의 용이 걸려있지 않은 곳이 없다.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전 대통령도 그의 용 한 마리씩을 갖고 있다. 그의 삶의 곧 그의 붓과 용과 함께 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그의 도전정신은 용의 일필휘지(一筆揮之)로만 점철되지 않는다. 74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끊임없는 연구로 한지위에 먹의 번짐을 이용한 몽유도법으로 다양한 그림을 이어나가고 있다.


  몽유도법은 안동한지, 금거름지 등 다양한 종이위에 구상한 그림의 밑바탕을 그린 후 지속적으로 수분을 주어 먹의 번짐 현상을 이용한 그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몽환적이며 신비스런 분위기로 그림을 그려내는 것이다.


  이는 그가 서예로서 자신이 써내려간 용 그림이 인간 내면에 깃든 잠재의식을 깨우고 그로 인해 자연과 하나 되어 신비로움을 느끼길 바라고 자연과영물의 경이로움이 예술로 승화돼 ‘무릉도원’같은 세계를 구현하고 싶다는 그의 바람을 상징화 하는 방법이 아닌가 싶다.


 


김윤주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단신

더보기


정치/행정

더보기

사회/경제

더보기

사건/사고

더보기
道 특사경, 분쇄육 제품 제조업체 불법행위 22건 적발
냉동보존제품을 냉장 또는 상온보관하거나 자가품질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등 축산물위생관리법을 위반한 업소 20곳이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에 적발됐다. 경기도는 지난 6월 16일부터 6월 27일까지 2주간 도 전역의 축산물가공업체 및 식육포장처리업체를 대상으로 집중 수사를 펼쳐 불법이 의심되는 축산물가공업체 362개를 확인하고 20개 업소에서 총 22건의 불법 위반 행위를 적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수사는 여름철을 앞두고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소시지, 햄버거패티 등 햄버거병 감염 위험이 높은 분쇄육 제품을 제조하는 업체를 사전 점검해 감염사고를 사전예방하기 위해 시행됐다. '햄버거병'이란 패스트푸드점에서 오염된 쇠고기 분쇄육이 들어간 햄버거를 먹은 어린이 수십 명이 집단 감염되면서 붙은 이름이다. 햄버거병으로 알려진 장출혈성대장균은 가열하면 사라지기 때문에 제대로 익혀 먹는 것이 중요하다. 주로 여름철 발생하는 장출혈성대장균에 의한 증상은 설사, 심한 경련성 복통, 혈변, 구토 미열 등이다. 수사결과 '축산물위생관리법' 위반 22건 가운데 적발된 주요 위반사항은 ▲업체에서 생산하는 축산물에 대한 자가품질검사 미실시 5건 ▲냉동 보존제품을 냉장 및 상온 보관 2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