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정치/행정

경기북부 5개 시군중 의정부시 의정비 결정위해 심의위 구성

양주·포천·동두천·연천 동결. 의정부 지난 2009년 큰폭삭감

 의정부시의회는 2012년도 의정비를 1120일 경까지 최종 결정해야함을 앞두고 인상을 위한 심의위원회를 구성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근 경기북부 5개 시·군 중 양주, 포천, 동두천, 연천등이 전년대비 의정비를 동결조치한데 반하여 의정부시의회의 경우는 인상을 고려중인 상황이다.

 의정부시의회는 지난 2009년도 시의원 개별 의정비를 4375만원에서 19.8%의 대폭 삭감한 3521만원으로 인하한 후 201013.5%를 인상하려다 시민적 저항과 논란 끝에 38652천원으로 연간 3442천원을 인상한 후 2011년 동결조치 하였다. 그리고 금번 물가상승과 의정활동을 고려한 의정비 인상을 논의하기 위하여 심의위원회를 구성, 지난 131차 회의를 한 것으로 밝혀졌다. 향후 심의위원회는 2차례 더 열릴 예정으로 심의위원은 10여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의정부시의회 노영일 의장은 경기침체와 재정악화에 따른 부담감도 있지만 현재 경기도 31개 시·군중 의정부시의회의 의정비는 15위 중간상태로 시의 규모나 재정규모를 볼때에는 7~8위 선에는 맞춰야 하지 않느냐고 말했다.

 한편 시의회의 의정비 인상안에 대한 시민들의 의견은 다양하게 표출되어 찬·반의 의견이 형성되어 있으나 물가상승폭이나 전문성을 지닌 시민의 대표로 청탁과 부정 부패의 유혹에서 벗어나 본연의 의무와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현실성있는 의정비가 보장되어야 하지 않느냐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경기북부 중심도시로 인구 규모와 예산규모를 비교해 보았을 때 의원1인당 지역구 인구수 대비 민원처리 및 시민의견 대변의 역할에서 인구수 20만명이 채 되지 않는 양주, 포천, 동두천, 연천 수준의 의정비로 이중직업이 허용되지 않는 의원들의 생활과 의정활동의 보장이 어렵지 않느냐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양주시의 경우 현재 3700만원, 포천시는 3711만원, 동두천시는 34188천원, 연천군의 경우는 3120만원으로 경기북부 대다수의 시·군·구가 의정비를 동결하는 가운데 의정부시는 심의위에서 어떠한 결정을 내릴지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단신

더보기


정치/행정

더보기
김동근 시장, 성모병원 앞 교차로 상습정체 해결 '묘수' 찾아
의정부시가 상습정체구간인 의정부성모병원 앞 교차로의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해 '차로'를 추가로 확보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15일 시에 따르면 주요 간선도로인 호국로에 위치한 의정부성모병원 앞 교차로는 민락지구 등 관내 대표 주거지구로 향하는 교차점이다. 또한 3번 국도 경기북부 구간 대체 우회도로인 신평화로와 바로 연결돼 포천, 양주, 동두천 등 인접 시군으로 가는 길목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도로 여건으로 인해 1시간에 6300여 대의 차량이 통행할 만큼 교통량이 많아 상습정체구간으로 손꼽히고 있다. 이에 시는 지난달 30일 김동근 시장 주관으로 '제22차 교통정책 전략회의'를 열고 성모병원 앞 교차로에 대한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당시 회의에서는 현행 폭 4.7m인 보도를 2m로 줄이고, 현재의 차로 간격을 일부 조정해 1개 차로를 추가 확보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만일 현행 직진 2개 차로가 3개 차로로 늘어날 경우 산술적으로 직진 통행량 50%를 추가로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시는 의정부경찰서와 차로 추가 확보에 관해 협의를 끝마쳤으며, 올해 안으로 공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앞서 시는 신평화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운영을 일시 해제해 해


사건/사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