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2.3℃
  • 맑음강릉 18.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5.7℃
  • 구름조금대구 17.2℃
  • 구름많음울산 15.6℃
  • 구름조금광주 17.2℃
  • 구름많음부산 17.5℃
  • 구름조금고창 14.6℃
  • 흐림제주 18.1℃
  • 맑음강화 11.2℃
  • 맑음보은 15.0℃
  • 맑음금산 15.6℃
  • 구름많음강진군 17.5℃
  • 구름조금경주시 15.0℃
  • 구름조금거제 14.8℃
기상청 제공

정치/행정

포천시, 안철수 의원 '포천내일포럼'으로 상륙

류왕현 상임대표로 세 규합 시동 걸어

포천지역 안철수 의원의 지지모임인 ‘새로운 변화 포천내일포럼’이 27일 포천 소흘읍 송우리 푸른언덕에서 창립식을 개최, 류왕현 광릉숲문화도시협의회장을 상임대표로 선출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포천시장 선거 출마의지를 밝힌 바 있는 류왕현 대표는 이번 포럼 창립으로 지지세력을 확산시킨 후 내년 선거에서 ‘안철수 간판’으로 나설 것이 확실시 돼 지역정가의 관심을 끌 것으로 보인다.

 

전국에서 18번째이자 경기북부지역에서 처음으로 창립된 포천내일포럼은 초대 상임대표에 류왕현 광릉숲문화도시협의회장이자 포천역사문화연대 공동대표를 선출하고 사무국장에 이규연, 운영위원에 권오돌, 이규승, 곽한철, 이관재씨를 임원으로 선출하는 등 조직을 구성하고 세력 규합에 나섰다.

 

30~40대 젊은층 회원 위주의 30여명이 참석한 이날 창립식은 유영훈 경기내일포럼 상임대표의 초청강연, 류왕현 준비위원장의 개회사, 신윤관 경기내일포럼 사무처장의 축사에 이어 경과보고, 운영내규 및 임원선출 등 안건토의, 창립선언문 낭독 순으로 진행됐다.
 
유영훈 상임대표는 강연에서 새누리당과 민주당 등 기성 정치권을 비판하고 ‘어떻게 하면 새로운 정치를 구현할 것인가’라고 화두를 던진 뒤 “안철수 의원이 표방하는 약속을 지키는 정치, 개인과 당의 이익보다 민생을 우선하는 정치, 창의력을 통해 해결책을 제시하는 정치를 위해 정치 주도세력을 교체해야 한다”고 말했다.

 

류왕현 상임대표는 창립선언문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의 미래가치가 가득한 포천이지만 전통시장과 중심상권이 죽어가고 공장은 문을 닫고 있으며 시민의 삶의 질은 요원하다. 하지만 포천시민에 희망의 미래를 열어줄 대안세력은 눈에 띄지 않는다”면서 “포럼은 시민과 함께하는 희망정치 학습의 장이자 미래정치 실현의 주체로 발전되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

포천 소흘읍 출신인 류 대표는 이날 개회사에서 포천의 기성정치세력을 강도 높게 비판하며 거침없는 발언을 쏟아내 눈길을 끌었다.

그는 “포천에 살면 포천사람이다”, “현재 포천을 이끌어나가는 인물은 그 나물에 그 밥이다”, “포천이 낙후된 변방으로 전락한 것은 기성 정치권과 모든 시민의 책임이다”, “포천고 중심의 인재풀은 사실상 끝났다”, “포천의 민주당은 야당으로서 견제역할이 부족했다”, “끼리끼리 소통하는 건 결코 소통이 아니다” 등 소신발언을 하면서 “각계각층의 의견을 담아내고 새로운 젊은 인재를 발굴해 선택과 집중을 통해 더 나은 포천의 미래를 열어 나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포천내일포럼은 지역현안 문제와 관련 정책포럼 개최 등의 역할을 하고 올 연말에는 안철수 의원을 포천으로 초청해 경기북부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평화와 통일에 관한 세미나를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단신

더보기


정치/행정

더보기

사회/경제

더보기
의정부 시민단체, CRC 무상양여 앞세운 '릴레이 티켓 판매' 잡음
의정부의 한 시민단체가 '캠프 레드클라우드(CRC) 무상양여 운동'을 앞세워 시민들에게 바자회 티켓을 릴레이식으로 판매한 사실이 드러나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공익을 내세운 모금이 사실상 강매로 변질됐다는 비판과 함께, 지난해 불거졌던 개인정보 무단 사용 의혹까지 재조명되며 단체의 신뢰성이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다. 이 단체는 최근 'CRC 무상양여를 위한 사업 및 활동 기금 마련'을 명분으로 바자회를 개최했다. 단체 채팅방에서 특정인을 지목해 티켓을 구매하도록 하고, 구매자가 다시 다른 사람을 지명하는 '릴레이식 판매 방식'을 활용했다. 문제는 사전 동의 없는 단체방 초대였다. 일부 시민들은 "지인이 초대해 단톡방을 나가지도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현재 단체방에는 약 600여 명이 참여 중이며, 상당수는 단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일반 시민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시민들 사이에서는 "해당 단체가 단톡방 인원을 회원으로 포장해 세를 과시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시민 A씨는 "티켓 구매 관련 문자가 계속 올라와 의무처럼 느껴졌다"며 "자발적 참여보다는 압박에 가까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민 B씨는 "무상양여라면 서명운동이나 청원으로

사건/사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