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2.3℃
  • 맑음강릉 18.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5.7℃
  • 구름조금대구 17.2℃
  • 구름많음울산 15.6℃
  • 구름조금광주 17.2℃
  • 구름많음부산 17.5℃
  • 구름조금고창 14.6℃
  • 흐림제주 18.1℃
  • 맑음강화 11.2℃
  • 맑음보은 15.0℃
  • 맑음금산 15.6℃
  • 구름많음강진군 17.5℃
  • 구름조금경주시 15.0℃
  • 구름조금거제 14.8℃
기상청 제공

사회/경제

의정부 동네 대형마트들 불법건축물에 도로 무단 점용까지...단속규정 늦다

지난 6일 의정부시 의정부동 566-3번지 2필지에 동네 대형마트인 H마트가 개장했다. 개장과 동시에 인도에 무단으로 마트에서 사용하는 카트와 물건을 쌓아 놓아 시민들의 통행에 불편을 주는 한편, 물품공급을 위해 드나드는 대형차량으로 도로혼잡이 야기 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또한 인근에 대형웨딩홀이 있어 차량통행에 혼잡을 겪고 있지만 마트 주변에 주정차 단속카메라가 없는 점을 악용해 마트전용 주차장이 버젓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로변에 불법주정차해 놓고 업무를 보고 있어 이를 지켜보는 시민들의 눈쌀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이 뿐만이 아니라 H마트에서는 건축허가 당시 설계상 있었던 화단조차 허가 후 무단으로 철거했으며, 대지면적 1153.1㎡,  연면적 955.05㎡, 건축면적 691.44㎡를 넘어 불법으로 넥산과 샷시를 이용한 건축면적과 공간을 만들어 상품진열 및 보관 장소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불법적인 사실들이 시청 주택과에 이미 민원으로 접수되었지만 문제는 현행법상 문제가 해결되기까지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불법사실을 적발해 1차계고 후 30일 이상까지 자진철거를 하지 않을 시 다시 2차 경고를 해 20일 이상 자진철거를 기다려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업주가 자진철거를 하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 부과 예고 후 또 10일 이상을 기다리는 등 총 2달가량의 시간이 지난 뒤에야 겨우 이행강제금을 부과할 수 있고, 그래도 자진철거하지 않으면 2차, 3차 강제금만 부과하는 것이 현행법이다. 

이러한 점을 잘 알고 있는 업주나 상가유지들은 자신의 사업용도가 이행강제금보다 더 큰 이익이 뒤따를 경우 불법건축물을 버젓이 지어놓고 오히려 큰소리치기 일쑤라는 것이다.

이에 시청 해당부서 담당자는 이러한 법적문제점을 들며 업주들을 설득해 빠른 시간 내 자진철거를 유도하는 것이 최상책이라며 업무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즉, 업주들이 불법건축물을 지어 2개월~3개월 혹은 그 이상 시간을 끌며 사용하는 것에 대해 신속하고 즉각적으로 강제이행금을 부과하거나 철거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최대한 건축주를 설득하는 것이 현재로써는 가장 빠른 민원해결책으로, 시민들의 쾌적한 생활환경 유지를 위해 불법건축물에 대한 신속한 대응방안 모색이 절실한 상황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단신

더보기


정치/행정

더보기

사회/경제

더보기
의정부 시민단체, CRC 무상양여 앞세운 '릴레이 티켓 판매' 잡음
의정부의 한 시민단체가 '캠프 레드클라우드(CRC) 무상양여 운동'을 앞세워 시민들에게 바자회 티켓을 릴레이식으로 판매한 사실이 드러나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공익을 내세운 모금이 사실상 강매로 변질됐다는 비판과 함께, 지난해 불거졌던 개인정보 무단 사용 의혹까지 재조명되며 단체의 신뢰성이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다. 이 단체는 최근 'CRC 무상양여를 위한 사업 및 활동 기금 마련'을 명분으로 바자회를 개최했다. 단체 채팅방에서 특정인을 지목해 티켓을 구매하도록 하고, 구매자가 다시 다른 사람을 지명하는 '릴레이식 판매 방식'을 활용했다. 문제는 사전 동의 없는 단체방 초대였다. 일부 시민들은 "지인이 초대해 단톡방을 나가지도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현재 단체방에는 약 600여 명이 참여 중이며, 상당수는 단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일반 시민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시민들 사이에서는 "해당 단체가 단톡방 인원을 회원으로 포장해 세를 과시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시민 A씨는 "티켓 구매 관련 문자가 계속 올라와 의무처럼 느껴졌다"며 "자발적 참여보다는 압박에 가까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민 B씨는 "무상양여라면 서명운동이나 청원으로

사건/사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