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1.7℃
  • 맑음강릉 9.8℃
  • 맑음서울 6.1℃
  • 박무대전 5.0℃
  • 박무대구 5.9℃
  • 구름조금울산 7.6℃
  • 박무광주 8.3℃
  • 구름많음부산 12.4℃
  • 맑음고창 4.0℃
  • 구름조금제주 15.2℃
  • 맑음강화 4.2℃
  • 맑음보은 1.8℃
  • 맑음금산 4.6℃
  • 맑음강진군 6.1℃
  • 맑음경주시 4.2℃
  • 구름조금거제 10.0℃
기상청 제공

사회/경제

새롬을 주목하라... 업계 최초 GMP 인증

헤어, 두발류 화장품 업계 최초로 GMP 국제규격 인증 획득하여...

연천군에 위치한 중견기업 주)새롬코스메틱이 지난 14일 헤어, 두발류 화장품 업계 최초로 ISO 22716:2007 Guidelines on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이하 GMP 칭함.) 국제규격 인증을 받아 한국 SGS 인증원 박순권 원장, 연천군청 관계자 및 새롬코스메틱 임직원들이 참여한 가운데 GMP 인증서 수여식을 진행하였다.

새롬코스메틱 김은호 대표이사는 “헤어, 두발류 화장품 업계 최초로 GMP 인증을 획득하여 기쁘다. 그간의 노력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까지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고 말하며 “특히 새롬코스메틱의 해외진출 역량과 생산시설 전반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GMP 국제규격은 현재 국내 대기업, 글로벌기업 포함하여 30여개 업체가 인증을 받았다. 헤어, 두발류 화장품은 새롬코스메틱이 업계 최초로 인증 획득하였다.

새롬코스메틱은 2012년 경기도 연천에 대지 약 13223.14m²(4000평), 건평 약 6611.57m²(2000평) 규모의 ISO GMP 및 CGMP 설비 수준의 생산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일 평균 12톤(일 최대 40톤) 생산량을 커버할 수 있는 규모다.

새롬코스메틱의 새로운 변화는 생산성 향상에만 머물지 않고 브랜드 확대 및 유통 다각화를 통해 또 한번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특히, 새롬코스메틱은 철저한 전문가용 제품 개발을 통해 프로페셔널 시장을 지향해 왔으며 시판 제품 OEM, 홈쇼핑 제품 개발 등을 통해 서두르지 않는 단계적인 영업망 확장으로 탄탄한 기반을 구축해 왔다.

그 결과 현재 전국 300여개 대리점을 통해 자사 브랜드를 헤어살롱에 직거래하는 것은 물론 헤어살롱 OEM/ODM 영업, 시판 브랜드 OEM 사업, 홈쇼핑 브랜드 공급, 일본과 중국 등 9개국 제품 수출 등으로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만들어 왔다.

마지막으로 김은호 대표이사는 “최근 국내외 경기침체로 기업운영 여건이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지만 지역경제과 기업지원SOS팀, 백학일반산업단지 기업지원센터 등 연천군의 체계적인 기업지원 시스템이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며 “기업과 지자체의 동반 성장과 상생 협력 문화를 정착시켜 창조경제를 실현하겠다.”고 덧 붙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단신

더보기


정치/행정

더보기

사회/경제

더보기
의정부 시민단체, CRC 무상양여 앞세운 '릴레이 티켓 판매' 잡음
의정부의 한 시민단체가 '캠프 레드클라우드(CRC) 무상양여 운동'을 앞세워 시민들에게 바자회 티켓을 릴레이식으로 판매한 사실이 드러나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공익을 내세운 모금이 사실상 강매로 변질됐다는 비판과 함께, 지난해 불거졌던 개인정보 무단 사용 의혹까지 재조명되며 단체의 신뢰성이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다. 이 단체는 최근 'CRC 무상양여를 위한 사업 및 활동 기금 마련'을 명분으로 바자회를 개최했다. 단체 채팅방에서 특정인을 지목해 티켓을 구매하도록 하고, 구매자가 다시 다른 사람을 지명하는 '릴레이식 판매 방식'을 활용했다. 문제는 사전 동의 없는 단체방 초대였다. 일부 시민들은 "지인이 초대해 단톡방을 나가지도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현재 단체방에는 약 600여 명이 참여 중이며, 상당수는 단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일반 시민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시민들 사이에서는 "해당 단체가 단톡방 인원을 회원으로 포장해 세를 과시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시민 A씨는 "티켓 구매 관련 문자가 계속 올라와 의무처럼 느껴졌다"며 "자발적 참여보다는 압박에 가까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민 B씨는 "무상양여라면 서명운동이나 청원으로

사건/사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