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8.8℃
  • 맑음강릉 15.3℃
  • 맑음서울 11.3℃
  • 맑음대전 11.8℃
  • 맑음대구 12.4℃
  • 구름조금울산 12.1℃
  • 구름조금광주 13.8℃
  • 구름많음부산 15.2℃
  • 맑음고창 10.4℃
  • 구름많음제주 16.7℃
  • 맑음강화 7.3℃
  • 맑음보은 8.9℃
  • 맑음금산 10.5℃
  • 구름많음강진군 13.8℃
  • 맑음경주시 10.7℃
  • 구름많음거제 12.5℃
기상청 제공

사회/경제

“망월사역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해 주세요!”

전철 1호선 플래트폼 개방으로 사고위험에 처한 이용객들이 사고예방을 위해 스크린도어 설치를 탄원하는 캠페인에 나섰다. 의정부시 호원동 소재 신한대학교 재학생 들은 4월 7일부터 13일까지 1주일 동안 망월사역 앞에서 학생, 일반 승객을 대상으로 망월사역 스크린도어 설치를 촉구하는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신한대학교 대의원회 회원 21명이 참여한 가운데 열리고 있는 이번 서명운동은 신한 대학교 재학생의 플랫폼 추락 사망사고를 계기로 재학생들의 통학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스크린도어는 지하철 승강장 위에 고정 벽과 가동 문을 설치해 차량의 출입문과 함께 열리고 닫히도록 만든 안전장치다.

망월사역은 신한대학교 재학생과 교직원을 비롯하여 원도봉산 등산로를 이용하는 등 산객, 지역주민 등 하루 2만5000여 명이 타고 내리는 교통의 요지이다. 신한대학교 의 경우 학기 중에는 하루 6천 여 명의 학생과 교직원이 이용하고 있으며 주말에는 하루 600여 명의 남녀 등산객이 타고 내린다. 특히 등산객은 중·노년층과 여성이 대 부분이어서 안전사고 위험이 높다.

2014년 8월 1호선 도봉산역에서는 30대 여성이 역내로 들어오는 열차에 뛰어들어 숨지는 사고가 일어났다. 2013년 7월에는 인근 도봉산역에서 60대 여성이 전동차에 치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그는 승강장에서 발을 헛디뎌 선로에 떨어진 것 으로 알려져 스크린도어 미설치 문제가 여론의 도마에 올랐다. 경찰은 폐쇄회로 확인 결과 실족사한 것으로 판단했다. 2014년 1월에는 의정부에서 인천으로 향하는 열차 와 선로 사이에 77세 할머니가 발을 헛디뎌 승강장에 떨어졌으나 다행히 팔꿈치 등 에 가벼운 찰과상만을 입고 구조됐다. 도봉소방서에 따르면 사고는 연간 4~5건 씩 발생하고 있는데 대부분 미끄러져서 추락을 하거나 투신하는 경우이다.

문제는 스크린도어가 없는 역이 지하철 1호선에 집중돼 있다는 점이다. 도봉구에 있 는 1호선 전철역은 모두 5개 인데 모두 스크린도어가 없다. 2014년 기준 코레일이 운영하는 지하철 1호선 89개역 중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역은 24곳에 불과하다. 수도 권 전철 중 코레일 구간은 30.2% 만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있지만 서울지하철은 설 치 비율은 99%에 이른다. 의정부 경전철도 설치 비율은 100%이다. 스크린도어가 설 치돼 있는 서울시내 다른 역의 추락 사고는 1건도 없다.

신한대학교 대의원회는 서명운동이 마무리 되면 코레일 홈페이지 ‘고객의 소리’에 접 수하고 국민안전처 안전신문고에도 접수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단신

더보기


정치/행정

더보기

사회/경제

더보기
의정부 시민단체, CRC 무상양여 앞세운 '릴레이 티켓 판매' 잡음
의정부의 한 시민단체가 '캠프 레드클라우드(CRC) 무상양여 운동'을 앞세워 시민들에게 바자회 티켓을 릴레이식으로 판매한 사실이 드러나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공익을 내세운 모금이 사실상 강매로 변질됐다는 비판과 함께, 지난해 불거졌던 개인정보 무단 사용 의혹까지 재조명되며 단체의 신뢰성이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다. 이 단체는 최근 'CRC 무상양여를 위한 사업 및 활동 기금 마련'을 명분으로 바자회를 개최했다. 단체 채팅방에서 특정인을 지목해 티켓을 구매하도록 하고, 구매자가 다시 다른 사람을 지명하는 '릴레이식 판매 방식'을 활용했다. 문제는 사전 동의 없는 단체방 초대였다. 일부 시민들은 "지인이 초대해 단톡방을 나가지도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현재 단체방에는 약 600여 명이 참여 중이며, 상당수는 단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일반 시민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시민들 사이에서는 "해당 단체가 단톡방 인원을 회원으로 포장해 세를 과시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시민 A씨는 "티켓 구매 관련 문자가 계속 올라와 의무처럼 느껴졌다"며 "자발적 참여보다는 압박에 가까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민 B씨는 "무상양여라면 서명운동이나 청원으로

사건/사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