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1.2℃
  • 맑음강릉 17.1℃
  • 맑음서울 12.8℃
  • 구름조금대전 13.2℃
  • 맑음대구 13.4℃
  • 구름조금울산 18.1℃
  • 구름많음광주 14.6℃
  • 구름조금부산 19.7℃
  • 맑음고창 14.1℃
  • 흐림제주 18.6℃
  • 맑음강화 10.5℃
  • 구름조금보은 12.5℃
  • 맑음금산 12.6℃
  • 구름많음강진군 14.5℃
  • 구름많음경주시 14.1℃
  • 구름조금거제 17.3℃
기상청 제공

사회/경제

경기도 사장님 10명 중 4명은 여성. 음식업이 가장 많아

경기도내 사업체 10개 중 4개는 여성이 운영하고 있으며 음식업과 소매업이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또 여성이 대표로 있는 사업체의 95.6%는 종사자가 10인 미만인 것으로 분석됐다.

2일 경기도가 2013년 기준 사업체조사 결과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도내 총 사업체 수는 773,216개이며 그중 여성이 운영하는 사업체는 282,220개로 36.5%, 남성이 운영하는 사업체는 490,996로 63.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대표로 있는 사업체의 85.4%인 240,943개는 종사자가 4인 이하였으며 10.2%인 28,806개는 종사자가 5~9명으로, 전체 사업체의 95.6%가 10인 미만 사업체였다. 반면 100명 이상의 종사자가 근무하는 사업체 가운데 여성이 대표로 있는 곳은 267개로 전체의 0.1%에 불과했다.

여성 대표의 비중이 높은 업종으로는 음식점업이 28.2%(79,530개), 소매업이 21.9%(61,938개)로 두 업종의 합계가 50.1%로 절반을 넘었다. 나머지는 교육서비스업 7.7%(21,742개), 제조업 6.0%(16,995개) 기타 개인서비스업 10.2%(12,619개) 순이다. 조직형태별로는 90.5%가 개인사업체, 회사법인 6.2%, 비법인 단체 2.0%로 조사됐다.

대표자 연령별로는 75.2%가 40~50대였으며, 30대(13.0%), 60대 이상(9.4%), 20대(2.4%) 순이었다. 업종별 대표자 연령대를 살펴보면 음식점업과 제조업이 49.1%와 45.6%로 50대 비중이 높았고, 소매업(39.7%), 교육서비스업(48.8%), 기타 개인서비스업(43.5%)은 40대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군별로는 수원이 26,349명으로 여성 대표자가 가장 많았고, 성남 22,325명, 고양시 21,240명 순으로 조사됐다. 반대로 여성 대표가 가장 적은 시군은 연천 1,439명, 과천 1,473명, 가평 2,455명이었다.

반면, 시·군별 남성 대표 대비 여성 대표 비중은 의정부시가 42.1%로 가장 높았으며, 동두천 41.8%, 가평군 41.6%, 수원 40.4% 순이었다. 반면 화성‧광주(30.2%), 시흥시(30.3%), 김포시(31.1%)는 여성 CEO 비중이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동광 경기도 미래전략담당관은 “10년 전인 2003년 19만 명이었던 도내 여성 대표수가 2013년 28만 명으로 43%가까이 급증했다.”면서 “그러나 여성이 대표로 있는 사업체의 95.6%가 종사자 10인 미만인 사업장이어서 아직도 규모면에서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단신

더보기


정치/행정

더보기

사회/경제

더보기
의정부 시민단체, CRC 무상양여 앞세운 '릴레이 티켓 판매' 잡음
의정부의 한 시민단체가 '캠프 레드클라우드(CRC) 무상양여 운동'을 앞세워 시민들에게 바자회 티켓을 릴레이식으로 판매한 사실이 드러나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공익을 내세운 모금이 사실상 강매로 변질됐다는 비판과 함께, 지난해 불거졌던 개인정보 무단 사용 의혹까지 재조명되며 단체의 신뢰성이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다. 이 단체는 최근 'CRC 무상양여를 위한 사업 및 활동 기금 마련'을 명분으로 바자회를 개최했다. 단체 채팅방에서 특정인을 지목해 티켓을 구매하도록 하고, 구매자가 다시 다른 사람을 지명하는 '릴레이식 판매 방식'을 활용했다. 문제는 사전 동의 없는 단체방 초대였다. 일부 시민들은 "지인이 초대해 단톡방을 나가지도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현재 단체방에는 약 600여 명이 참여 중이며, 상당수는 단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일반 시민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시민들 사이에서는 "해당 단체가 단톡방 인원을 회원으로 포장해 세를 과시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시민 A씨는 "티켓 구매 관련 문자가 계속 올라와 의무처럼 느껴졌다"며 "자발적 참여보다는 압박에 가까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민 B씨는 "무상양여라면 서명운동이나 청원으로

사건/사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