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3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문자도사 초등생들 글씨는 왕 초보



문자도사 초등생들 글씨는 왕 초보


 


 


 





우리의 위대한 재산, 세종대왕이 자랑스럽기만 한 우리의 한글, 한글의 날이 들어있는 10월을 맞이하여 우리의 한글은 어떻게 쓰여 지고 우리의 한글을 접하는 어린 아이들에게는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 아이들은 어렸을 때부터 한글을 제대로 접하지 못하고,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가지 부작용이 따르고 있는데 특히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각종 컴퓨터와 휴대폰을 소유하면서 오는 문제의 심각성과 부작용은 너무나도 심각하기에 거론해 보고자 한다.


제목 그대로 요즘 초등학생들은 휴대전화나 컴퓨터를 워낙 빠른 나이에 접하다보니 한글을 제대로 학습하지 않아 글씨를 제대로 쓰지 못한다고 한다. 또 컴퓨터나 휴대전화를 접하면서 간단명료하고, 재미있는 표현을 구사하다보니 은어를 많이 쓴다고도 한다. 그러다보니 제대로 된 한글 표현이나 한글을 쓰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인 것 같다.


서울 K초등학교 2학년인 한 학생은 얼마 전 짝꿍에게 생일 축하 카드를 건넸다가 망신을 당했다고 한다. 카드를 받은 여자친구가“글씨가 엉망이어서 뭐라고 썼는지 읽을 수가 없다”며 카드를 돌려줬기 때문이란다. 이 학생은 연필을 가운뎃손가락과 약지 사이에 끼우고 글씨를 쓴다고 한다. 연필을 잡는 자세가 불안하다 보니 글씨기 삐뚤삐뚤하고 명확하지 않게 쓰는 것은 어쩌면 당연할 일일 것이다.


이 학생의 담임교사는 한글을 유치원 이전에 깨치는 아이는 많지만 글씨체는 엉망이라고 말하면서 어린이들이 컴퓨터나 휴대전화 문자 쓰기를 즐겨 해 전반적으로 글쓰기 훈련이 부족해서 라고 꼬집어 말한다.


한 신문사에서 서울의 K초등학교 2학년 2개 반 학생 91명을 대상으로 연필 잡기 습관을 조사한 결과 불과 16명만이 집게손가락과 엄지로 잡고 중지로 연필을 받치는 올바른 습관을 갖고 있었으며, 나머지 학생은 세 손가락으로 연필을 잡는 등 제멋대로 글씨를 쓰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다보니 바둑판 모양의 글자 칸에 똑바로 글을 써 넣지 못하기도 했다고 하니 큰 문제라는 생각이다.


유치원 때부터 올바른 글쓰기 지도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컴퓨터와 휴대전화에 친숙한 아이들의 글쓰기 양이 턱 없이 모자라기 때문에 이런 현상들이 벌어지고 있으며, 초등학생들의 부모들은 대부분 30대의 컴퓨터 세대이기 때문에 부모가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들이 글쓰기를 싫어하는 것도 어쩌면 당연히 결과라는 생각이다.


이런 가운데 서울 도봉구에 있는 한신 초등학교에서는 개교 이래 40년째 학생들에게 올바른 글쓰기 교육을 하고 있다고 해서 화재가 되고 있다고 한다. 수업을 받다가 너무 힘들다며 연필을 놓아버린 학생들도 많이 있다고 하는데 이들은 유치원에서 한번도 배운 적이 없다며 투덜대기도 하고 차라리 컴퓨터로 쓰는 게 훨씬 더 편하다고 말한단다. 하지만 선생님들은 애들이 힘들어 하지만 한두 달 연습시키면 익숙해진다며 자세가 올바르면 글씨체도 예뻐진다고 교육 시킨다고 한다.


이런 선생님들의 노력과 한신 초등학교 같은 교육방침을 보고 배워 지금부터라고 적극 장려하고 학교 교육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생각한다. 하지만 방관한다면 큰 낭패를 볼 것이 불 보듯 뻔하며 우리의 아름답고 소중한 한글의 가치도 많이 회손 될 것은 불 보듯 뻔하다.


그렇지 않아도 외래문화가 사회 전반에 퍼져있어 우리의 것이 점점 사라져 가는 시대에 소중하고 아름다운 우리의 한글마저 머지않아 잃어버리지 않을까? 염려스럽다. 글쓰기가 두뇌 개발은 물론 인성 교육에도 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누구든 잘 알 것이다. 물론 우리 민족만이 가지고 있는 젓가락 사용 또한 말이다. 물론 컴퓨터를 이용하면 글씨를 더 예쁘고 쉽게 더 빠르게 잘 쓸 수 있고 우리 아이들에게는 적응이 되어있기는 하지만 우리민족의 장점을 더 가치 있게 활용함을 가르치는 일이 더 급한 것 같다는 생각이다. 무엇보다 우리 기성세대들의 관심과 인식의 전환, 그리고 노력이 필요한 것 같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단신

더보기


정치/행정

더보기

사회/경제

더보기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모두의돌봄' 릴레이 캠페인 동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기북부지사(지사장 이효성)가 의정부시가 추진 중인 '모두의돌봄' 릴레이 캠페인에 동참하며 지역사회 내 포용적 돌봄문화 확산과 장애인 고용 인식 제고에 앞장섰다. 20일 공단에 따르면 '모두의돌봄' 캠페인은 의정부시가 시민과 함께하는 복지를 실현하고, 지역사회 돌봄의 가치를 공유하기 위해 시작한 사회공헌 프로젝트다. 시장과 시의회 의장을 비롯해 관내 주요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장이 순차적으로 참여하는 릴레이형 복지 캠페인으로, 참여 기관이 다음 주자를 지명하며 이어가는 방식이다. 이효성 경기북부지사장은 "지역의 공공과 민간이 함께 취약계층을 돌보는 의미 있는 연대의 장에 동참하게 되어 뜻깊다"며, "앞으로도 장애인 고용 확대를 통해 누구나 일할 수 있고 함께 돌보는 포용적 사회 실현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이 지사장은 이인영 경기도의료원 의정부병원장의 지목을 받아 캠페인에 참여했으며, 다음 주자로 신소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경기북부본부장을 지목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기북부지사는 이번 캠페인을 계기로 지역사회와의 상생 기반 복지 실현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를 병행할 방침이다. 특히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한 장애인 고용 지

사건/사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