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2.2℃
  • 맑음강릉 9.9℃
  • 맑음서울 6.4℃
  • 박무대전 5.3℃
  • 박무대구 6.0℃
  • 구름많음울산 8.7℃
  • 박무광주 8.4℃
  • 구름많음부산 12.7℃
  • 맑음고창 4.9℃
  • 구름많음제주 15.3℃
  • 맑음강화 3.5℃
  • 맑음보은 2.2℃
  • 맑음금산 4.3℃
  • 구름조금강진군 6.7℃
  • 구름많음경주시 4.7℃
  • 구름많음거제 10.0℃
기상청 제공

사회/경제

의정부, 미군공여지 특정재단 부지매각 특혜 논란 일어나

을지대학병원 부지 국방부 주변시세보다 3~4배 싼 가격으로 매각 협의 앞둬

공공기관, 정부기관도 아닌 특정재단 시설 위해 헐값 매각에

자연녹지에서 1종 주거지역 계획 변경 이해할 수 없어...

 

 

지난 2011년 을지대학병원 조성 양해각서 체결식

지난 18일 의정부시는 금오동 미군공여지인 캠프에세이온의 11만2000㎡에 총 7000억원을 들여 1028병상 규모의 종합병원과 대학캠퍼스를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건립하기 위한 부지 땅값 협의가 을지재단 측과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를 위해 현재 자연녹지인 해당부지의 용도를 을지대의 요청에 따라 1종 주거지역으로 조정하는 계획 변경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시의 이러한 계획 진행에 대해 특정재단에 대한 '특혜 논란'이 일어날 조짐이 보여 지역정가와 지역민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는 국방부에서 해당 부지를 공시지가인 3.3㎡당 122만원 수준인 140만원 가량의 선에서 을지재단에 매각하려 해 '헐값논쟁'과 '특례논란'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을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국방부 측에서 지난 9월 을지재단 측과 각 측의 감정평가사들을 추천해 해당 부지를 감정한 결과 3.3㎡ 당 300~400만원을 웃도는 것으로 나와 이 매각이 이루어질 경우 을지재단 측은 앉아서 엄청난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는 상황이다. 국가기관이나 공공기관도 아닌 일반재단에게 어마어마한 특혜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 지역주민의 여론이다.

특히 이는 국방부가 파주에 이화여대캠퍼스를 공여지로 매각하려던 파주 캠프에드워드의 2008년 당시 3.3㎡의 땅값인 263만원에도 훨씬 못 미치는 가격으로, 파주시 공여지는 당시 공시가격의 5배 이상을 이화여대에 매각대금으로 내놓아 3.3㎡당 공시지가의 2~3배 높은 98만원을 제시한 이화여대와 국방부측 제시금액이 1750억원과 652억원으로 큰 차이가 나 사업이 무산된 바 있다.

이에 대해 지역여론은 국방부의 미군공여지 매각 매뉴얼이 일관성이 없는 것 아니냐는 반응과 함께 미군공여지의 매각 형평성 논란과 특혜논란이 향후 다른 미군공여지의 매각처리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단신

더보기


정치/행정

더보기

사회/경제

더보기
의정부 시민단체, CRC 무상양여 앞세운 '릴레이 티켓 판매' 잡음
의정부의 한 시민단체가 '캠프 레드클라우드(CRC) 무상양여 운동'을 앞세워 시민들에게 바자회 티켓을 릴레이식으로 판매한 사실이 드러나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공익을 내세운 모금이 사실상 강매로 변질됐다는 비판과 함께, 지난해 불거졌던 개인정보 무단 사용 의혹까지 재조명되며 단체의 신뢰성이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다. 이 단체는 최근 'CRC 무상양여를 위한 사업 및 활동 기금 마련'을 명분으로 바자회를 개최했다. 단체 채팅방에서 특정인을 지목해 티켓을 구매하도록 하고, 구매자가 다시 다른 사람을 지명하는 '릴레이식 판매 방식'을 활용했다. 문제는 사전 동의 없는 단체방 초대였다. 일부 시민들은 "지인이 초대해 단톡방을 나가지도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현재 단체방에는 약 600여 명이 참여 중이며, 상당수는 단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일반 시민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시민들 사이에서는 "해당 단체가 단톡방 인원을 회원으로 포장해 세를 과시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시민 A씨는 "티켓 구매 관련 문자가 계속 올라와 의무처럼 느껴졌다"며 "자발적 참여보다는 압박에 가까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민 B씨는 "무상양여라면 서명운동이나 청원으로

사건/사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