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2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교육/문화

신한대, 2017학년도 수시 경쟁률 10.54대 1

경기 북부지역 소재 대학들 가운데 최고 경쟁률 기록

공연예술학과 연기전공 34.211 전체 학과 중 최고 경쟁률

학생부 우수자 전형은 방사선학과, 321로 가장 높은 기록

신한대학교(총장 김병옥)2017학년도 수시모집을 마감한 결과 전체 모집인원 1,039(특성화고졸 재직자 제외)10,946명이 지원, 10.54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전년도 경쟁률 8.23 1보다 크게 증가한 수치이며 전체 지원자 수도 지난해(8,613)에 비해 늘어났다. 또 수시모집 결과는 2014년 종합대학 개교 이후 최고 경쟁률이며 3년 연속 경기북부 대학 가운데 가장 높은 것이다.

일반 전형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학과는 공연예술학과 연기전공으로 33명 모집에 1,129명이 지원해 34.211의 최고 경쟁률을 나타냈다. 간호학과는 19.181, 치위생학과는 18.331로 뒤를 이었다.

학생부 우수자 전형에서는 방사선학과가 321로 가장 높은 경쟁을 기록하였으며 치위생학과가 전년도(4.41) 보다 높은 31.51, 에너지환경공학과는 20.331의 경쟁률을 보였다.

전형별 경쟁률은 신한국인 전형(리더십봉사 인재)10명 모집에 122명이 지원해 12.21, 학생부종합전형(사회기여자)15명 모집에 159명이 지원해 10.61의 경쟁률을 보였다. 신한국인 전형(크리스천 인재)15명 모집에 137명 지원해 9.13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신한대학의 경쟁률이 타 대학에 비해 높게 나타난 데는 복수지원이 가능해 지원 대상 학과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또 대학 비전인 차별화된 교육을 통해 성공가치를 창출하는 취업 명문 대학을 지향하는 특화된 교육시스템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김영성 입학처장은 신한대학이 수험생이 오고 싶어 하는 실용학문중심 학과로 편성된 점, 찾아가는 입시설명회,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입시설명회 등 적극적인 대학 홍보 전략이 경기북부 최고 수시 경쟁률을 달성 하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신한대학교는 1015~16, 22~23일 면접고사를 실시하며 1110~13일 실기고사를 거쳐 1216일 최종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단신

더보기


정치/행정

더보기

사회/경제

더보기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모두의돌봄' 릴레이 캠페인 동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기북부지사(지사장 이효성)가 의정부시가 추진 중인 '모두의돌봄' 릴레이 캠페인에 동참하며 지역사회 내 포용적 돌봄문화 확산과 장애인 고용 인식 제고에 앞장섰다. 20일 공단에 따르면 '모두의돌봄' 캠페인은 의정부시가 시민과 함께하는 복지를 실현하고, 지역사회 돌봄의 가치를 공유하기 위해 시작한 사회공헌 프로젝트다. 시장과 시의회 의장을 비롯해 관내 주요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장이 순차적으로 참여하는 릴레이형 복지 캠페인으로, 참여 기관이 다음 주자를 지명하며 이어가는 방식이다. 이효성 경기북부지사장은 "지역의 공공과 민간이 함께 취약계층을 돌보는 의미 있는 연대의 장에 동참하게 되어 뜻깊다"며, "앞으로도 장애인 고용 확대를 통해 누구나 일할 수 있고 함께 돌보는 포용적 사회 실현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이 지사장은 이인영 경기도의료원 의정부병원장의 지목을 받아 캠페인에 참여했으며, 다음 주자로 신소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경기북부본부장을 지목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기북부지사는 이번 캠페인을 계기로 지역사회와의 상생 기반 복지 실현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를 병행할 방침이다. 특히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한 장애인 고용 지

사건/사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