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6.5℃
  • 맑음강릉 14.4℃
  • 맑음서울 9.6℃
  • 맑음대전 10.1℃
  • 맑음대구 10.1℃
  • 구름많음울산 11.7℃
  • 맑음광주 12.8℃
  • 구름많음부산 14.4℃
  • 구름조금고창 8.4℃
  • 흐림제주 16.3℃
  • 맑음강화 6.7℃
  • 맑음보은 7.0℃
  • 맑음금산 7.9℃
  • 구름많음강진군 10.7℃
  • 구름조금경주시 8.7℃
  • 구름많음거제 11.7℃
기상청 제공

정치/행정

양주시, 상수도 위탁 해지 소송에 패소.. 혈세 낭비 누가 책임지나?

지난 21일 의정부지법 제1행정부(재판장 김수천)는 그동안 논란이 돼왔던 양주시 상수 위탁 해지 소송에 한국수자원공사의 손을 들어줘 양주시로써는 시민의 혈세 낭비 논란과 책임소재의 논란이 야기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양주시는 과도한 비용을 문제 삼아 한국수자원공사와 맺은 지방 상수도 위·수탁계약을 해지해 수자원공사 측이 양주시장을 상대로 ‘양주시 지방상수도 운영 행정처분 효력 정지 및 중도해지 무효 소송’을 제기해 이번에 승소판결을 받은 것이다.


이 과정에서 양주시와 수자원공사 간에 감정의 골이 깊어졌으며 이 소송의 사례를 법적으로 명확하지 않은 상수도 업무 위탁 비용을 둘러싼 수자원공사와 지자체의 법적 다툼의 첫 번째 사례의 기록을 남기게 됐다.
재판부는 이미 지난 해 9월 수자원공사가 양주시장을 상대로 낸 ‘행정처분 효력 정지 및 중도해지 무효 확인’등 가처분 신청 당시에도 수자원공사의 손을 들어주며 수자원공사의 경영에 타격을 우려한 바 있다.


양주시가 지난 2008년 지방상수도 운영을 수자원공사에게 20년간 위탁 하면서 1년에 28억원씩 위탁 비용을 지불해왔는데 시가 4년간의 운영 결과를 토대로 2008년~2028년까지 상수도를 위탁 운영할 경우 2960억원이 소요돼 직접 운영할 때 보다 손실액이 1100억원에 이른다.
이에 양주시는 수자원공사에게 계약위탁 비용을 다시 현실화 하자고 요구하면서 수자원공사와 갈등이 야기되는 한편 신뢰프로세스를 상호 상실하고 소송까지 가는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이처럼 반목과 갈등이 지속돼가면서 합의점을 찾지 못했던 양 측은 급수공사 및 감독명령 거부를 하고 계약 해지를 통보한 양주시와 이에 맞서 소송을 제기한 수공 측의 싸움은 결국 이번 판결로 수공 측의 승리로 귀착됐다.
이에 현재 양주시는 이번 1심 판결에 항소 여부를 신중히 검토 중이며 지역에서는 양주시가 면밀한 검토 없이 승산 없는 싸움을 벌여 결국 시민의 혈세로 막대한 소송비용과 행정력을 낭비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지방선거를 1년 남짓 남겨놓은 상황에 의정부, 양주, 동두천 누구라 할 것 없이 해당 지자체 단체장의 임기동안의 행정능력이 각 지자체별 사안으로 거론되고 있어 그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는 ‘제 발등 찍는 행정’이 도마에 올라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에 봉착돼가고 있는 실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단신

더보기


정치/행정

더보기

사회/경제

더보기
의정부 시민단체, CRC 무상양여 앞세운 '릴레이 티켓 판매' 잡음
의정부의 한 시민단체가 '캠프 레드클라우드(CRC) 무상양여 운동'을 앞세워 시민들에게 바자회 티켓을 릴레이식으로 판매한 사실이 드러나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공익을 내세운 모금이 사실상 강매로 변질됐다는 비판과 함께, 지난해 불거졌던 개인정보 무단 사용 의혹까지 재조명되며 단체의 신뢰성이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다. 이 단체는 최근 'CRC 무상양여를 위한 사업 및 활동 기금 마련'을 명분으로 바자회를 개최했다. 단체 채팅방에서 특정인을 지목해 티켓을 구매하도록 하고, 구매자가 다시 다른 사람을 지명하는 '릴레이식 판매 방식'을 활용했다. 문제는 사전 동의 없는 단체방 초대였다. 일부 시민들은 "지인이 초대해 단톡방을 나가지도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현재 단체방에는 약 600여 명이 참여 중이며, 상당수는 단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일반 시민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시민들 사이에서는 "해당 단체가 단톡방 인원을 회원으로 포장해 세를 과시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시민 A씨는 "티켓 구매 관련 문자가 계속 올라와 의무처럼 느껴졌다"며 "자발적 참여보다는 압박에 가까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민 B씨는 "무상양여라면 서명운동이나 청원으로

사건/사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