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4.8℃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정치/행정

의정부 새누리당 강세창, 김시갑, 김승재 시장 후보 단일화 ‘글쎄’

강세창 후보 제안, 김시갑 후보 동의 김승재 후보 논의 수준, 구체적 방안 아직 없어
김시갑, 김승재 후보 합리적이고 공정한 방식 아니면 수용 못 해

좌로부터 강세창, 김승재, 김시갑 후보

새누리당 시장예비후보간의 치열한 시장후보 낙점 고지를 점령하기위한 내부 경쟁 속에 지난 17일 강세창 후보의 제안으로 김시갑 후보와 김승재 후보가 김남성 후보를 제외한 3자 단일화 구도에 동의했다는 보도가 모 인터넷 언론에 게재됐다.

이 보도에 따르면 최근 여론조사 결과 김남성 후보의 지지도가 만만찮게 나오자 강세창 후보가 나름의 승부수를 위해 김남성 후보를 제외한 김시갑, 김승재 후보에게 단일화를 제안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보도에도 불구하고 본지의 취재 결과 해당 당사자인 김시갑 후보는 동의는 했지만 그 근본에는 특정인을 위한 단일화가 아닌 공정하고 합리적인 단일화 방법을 전제조건으로 해야 한다는 원칙하에 동의했을 뿐 구체적 단일화 방안의 합의는 없었다고 말했다.

이와 반면 김승재 후보는 알려진 것과 달리 강 후보와 논의는 했지만 동의 결정은 아니라며 새누리당 후보들이 단일화에 합의가 되었으면 기자회견을 하지 않았겠냐고 반문했다.

특히 김승재 후보는 특정인을 위한 단일화인양 지역정가의 일부 소문이나 왜곡된 여론플레이에 불쾌한 생각도 든다면서 특정인을 위한 단일화라면 이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처럼 모 인터넷 언론에 보도된 ‘묵시적 합의’는 아직 도출되지 않은 상황으로 지역정가에 이러한 정치적 액션이 불편한 진실로 오인될까 후보자들은 극도로 경계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소식을 접한 지역정가에서는 새누리당 시장 예비후보간의 반목과 대립의 양상을 여실히 보여주는 상황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또한 여론조사결과 발표 이후 특정후보를 배제시키고 당내 경선으로 나머지 후보들끼리 단일화를 해 특정후보와 1:1 경선구도를 만들겠다는 발상과 그 발상조차 특정인을 위한 것이라면 정치가 축제가 돼야한다는 당원이나 시민의 의견을 무시하는 처사가 될 것이며 후보자들간에 결정 되지 않은 사안을 언론에 흘려 보도되는 것은 ‘구태정치’의 전형이라는 비판이 일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6·4지방선거에서 시민과 유권자들은 최근 국가적 재난 속에 정치인들이 보여준 실망스러운 행태로 겉과 속이 다른 정치인들을 솎아내는 엄격한 잣대와 주권행사로 ‘어용정치인’들을 심판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단신

더보기


정치/행정

더보기

사회/경제

더보기
의정부 시민단체, CRC 무상양여 앞세운 '릴레이 티켓 판매' 잡음
의정부의 한 시민단체가 '캠프 레드클라우드(CRC) 무상양여 운동'을 앞세워 시민들에게 바자회 티켓을 릴레이식으로 판매한 사실이 드러나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공익을 내세운 모금이 사실상 강매로 변질됐다는 비판과 함께, 지난해 불거졌던 개인정보 무단 사용 의혹까지 재조명되며 단체의 신뢰성이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다. 이 단체는 최근 'CRC 무상양여를 위한 사업 및 활동 기금 마련'을 명분으로 바자회를 개최했다. 단체 채팅방에서 특정인을 지목해 티켓을 구매하도록 하고, 구매자가 다시 다른 사람을 지명하는 '릴레이식 판매 방식'을 활용했다. 문제는 사전 동의 없는 단체방 초대였다. 일부 시민들은 "지인이 초대해 단톡방을 나가지도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현재 단체방에는 약 600여 명이 참여 중이며, 상당수는 단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일반 시민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시민들 사이에서는 "해당 단체가 단톡방 인원을 회원으로 포장해 세를 과시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시민 A씨는 "티켓 구매 관련 문자가 계속 올라와 의무처럼 느껴졌다"며 "자발적 참여보다는 압박에 가까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민 B씨는 "무상양여라면 서명운동이나 청원으로

사건/사고

더보기